내가 선택한 27인치 모니터 추천 (해상도 비교)
컴퓨터 본체가 한대 생기면서 또 고민이 생겼다. 이 본체에 사용할 모니터가 필요한데, 그냥 한 개 사면 되는 건데 왜 이렇게 이리저리 따지고 고민을 하는지 당최 모르겠다. 집에서 원래 쓰던 컴퓨터는 딸내미한테 줬고, 이제 막내가 서서히 컴퓨터 사용할 나이가 되면서 이상한 고민에 빠졌다. 그래서 나름 고민한 모니터 화면 사이즈 선택, 추천글을 써볼까 한다.(내 돈 주고 내가 산 찐 후기임을 밝힌다.)
- 사용 목적과 용도
- 모니터 해상도
- 사용목적에 따른 구분
- 나에게 맞는 추천 모니터
- 내가 산 모니터

- 사용 목적과 용도
먼저 모니터를 구매하려면 본인이 사용하는 목적에 맞는, 또는 용도에 따른 사용처가 확실하게 정해진 거라면 솔직히 고민할 필요가 없다. 컴퓨터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어느 회사의 것을 사는지만 고민하면 된다. 그러나, 인터넷, 유튜브, 영화, 그래픽 작업, 영상편집, 게임 등 두루두루 사용할(Allround) 목적 때문에 어떤 걸 구매할지 망설여지게 되고 고민하게 된다.
- 모니터 해상도

위의 이미지가 해상도별 화면 크기이다. 예전에는 일반적인 HD 해상도에 17인치 19인치 20인치 정도가 평균이었고, 요즘에는 24인치 FHD 1920x1080 해상도가 기본이다. 모니터는 한번 구매하면 고장이 나지 않는 이상 나름 오랫동안 사용하기 때문에 지금 구매한다면 24인치는 조금 애매하긴 해도 그래도 아직은 사용목적에 따라 24인치 듀얼로도 많이 사용하기에 아직도 충분히 주력으로 사용할만하다. 아래 일반적으로 사용 용도에 맞게 표로 작성해보았다.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기 때문에 참고만)
- 사용목적에 따른 구분
사용목적 / 용도 | 화면 크기 | 해상도 |
인터넷, 유튜브, 문서작성 등 | 24인치 | 1920x1080 (FHD) |
영상편집, 그 외 그래픽작업 | 27인치, 32인치 | 2560x1440 (QHD) |
일반적인 게임 위주 | 24인치, 27인치 | 1920x1080 (FHD), 144hz, 1ms |
고해상 3D 게임 위주 | 24인치, 27인치 | 1920x1080 (FHD), 144hz, 1ms |
위의 표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고 대체적으로 이와 같이 사용한다 정도의 표이기에 참고만 하면 되겠다. (주사율 144hz, 응답속도 1ms의 설명은 아래에 있다.)
1. 인터넷, 유튜브, 문서작성 등
대체적으로 컴퓨터 사용자가 많이 활용하는 인터넷, 유튜브, 문서작업 등 간단한 작업을 한다면 아직까지도 24인치에 해상도 1920*1080 정도면 충분하다. 물론 금액 투자를 많이 할 수 있고 자신의 시력이 좋고, 큰 화면을 선호한다면 27인치 QHD나 32인치 QHD로 사용해도 된다.
2. 영상편집, 그래픽 작업, 3D 모델링
그 외 그래픽 작업, 영상 편집자는 화면이 클수록 좋기 때문에 27인치 이상에 QHD 이상 쓰면 된다. 대신 27인치 QHD 해상도는 사용자에 따라서 또는 시력이 좋고 나쁨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QHD 이상의 해상도의 모니터를 쓸려면 32인치가 마지노선이지 않나 싶다. 그 이하 화면에서는 글씨도 깨알처럼 작을 것이고, 메뉴나 아이콘 등이 작아서 정말 불편하고 눈도 아플 것이라 생각된다. 모든지 딱~ 적당한게 좋은것이다.
3 게임 위주
게임을 주로 많이 하는 사용자라면 24인치, 27인치 FHD로 주로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너무 큰 해상도일 경우, 그에 따른 컴퓨터 사양이 높아야 하기 때문이다. CPU, 메모리, 그래픽카드 등 본인의 컴퓨터 사양이 충분히 높다면 QHD를 넘어 4K 게임도 32인치 이상 화면으로 할 수 있다. 적정하게 타협점을 찾는다면 27인치 FHD 정도면 큰 화면에 게임을 즐길 수가 있겠다. 무조건 큰 화면이 좋다고는 할 수 없는데 게임 특성상 게임에 한눈에 들어오지가 않기 때문이다. 화면에 미니맵을 봐야 하는데 고개를 이리저리 돌려 본다면 시간을 다투는 게임에서는 승패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가 있다. 소닉처럼 빠르게 왔다 갔다 할 수 있으면 모를까...
그리고 화면 주사율이라는 게 있는데 빠를수록 좋다. 1초에 몇 개의 화면을 보여주는 수치인데 게임을 주로 한다면 필히 144hz 이상의 사양을 가진 모니터를 선택하면 된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주는데, 영화의 프레임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조금 이해가 쉽다. 마지막으로 응답속도인데 요즘의 게임 모니터는 기본이 1ms 이기 때문에 필히 1ms이하로 해야 움직이는 화면 잔상이 적다. 이러한 고성능들이 눈의 피로를 덜게 한다. (난 여태 11ms 모니터를 사용했었다.ㅠㅜ)
4. 패널별 특징(참고)
구분 | IPS | VA | TN |
명암비 | 보통 | 우수 | 보통 |
시야각 | 넓음 | 보통 | 좁음 |
응답속도 | 보통 | 보통 | 빠름 |
색재현 | 높음 | 높음 | 보통 |
- 보통 생산되어진 모니터에도 패널별 구분이 있는데 각각의 장단이 있으니 참고 하면 되겠다. 주로 IPS제품이 제일 많고, 그 다음에 VA패널, TN 순이다.
- 나에게 맞는 추천 모니터
위에서 설명했듯이 게임 위주, 그래픽 작업자라면 어느 정도 컴퓨터와 모니터에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 분들이기 때문에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해보자면, 그냥 일반적인 중저가 사양의 본체에 인터넷과, 유튜브, 간단한 문서작업을 하고 가성비로 구매해야 하고, 모니터와 눈과의 거리가 50~60Cm 정도(책상 세로폭 60Cm 정도)라면 24인치 1920x1080 (FHD)의 모니터를 추천한다.

조금은 시력이 안좋거나 노안이고, 모니터와 눈과의 거리가 70Cm 이상이고(책상 세로폭 80Cm) 그래도 조금 큰 화면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27인치 1920x1080 (FHD)로 해도 될듯하다.
본인의 시력이 1.5 이상 아주 좋다면 27인치 2560x1440 (QHD) 구매해도 될 것 같다. (호불호가 있긴 해도 그래도 조금 긴가민가 하신 분들은 실제 매장 가서 확인해보는 게 제일 좋은 방법)

- 내가 산 모니터
본인이 노안이라서, 그래도 이제는 지금 집에 있는 모니터보다 커야 되지 않나 싶어 27인치 FHD로 구매했다. 책상 사이즈 또한 1600x800이라 넉넉해서 이 정도면 충분했고, 그리고 예전에 구매했던 알파스캔 22인치 모니터를 아직도 쓰고 있다. 아마 12년 이상은 되지 않았다 싶다. 이 정도면 내구성 또한 괜찮은듯하고, 국내 중소기업 제품에서도 A/S도 좋으니 딱이다. 내가 보기엔 중저가 상품중에 대기업 제품들도 많이 나오는데 같은 중저가 가격이면 중소기업의 제품이 조금 더 나은 듯하고, 성능이 좋은 고가의 모니터는 대기업 제품이 조금 좋은 듯한 뭐 느낌적인 느낌이다. 뭐 꼭 그런 건 아니고 참고만 하시길^^ 마지막으로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커브드 모니터도 많이 나오는데 개인적으로 여러모로 올라운드로 쓰기엔 커브드 모니터는 개인적으로 완전 비추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것이든지 간에 개인적인 성향과 취향이 틀리니 다 같을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점 감안하고 봐 주셨길 빈다.
'IT 인터넷 >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그래픽카드 성능 순위 (G3D Mark 7월 기준) (0) | 2022.07.14 |
---|---|
두 번 클릭으로 컴퓨터 사양 확인하는 방법 (장치관리자 및 CPU-Z) (0) | 2020.02.19 |
컴퓨터 케이스 추천 그리고 케이스 쿨러 및 쿨링 (0) | 2020.02.06 |
파워서플라이 컴퓨터 파워의 중요성~! 그리고 고장증상 (0) | 2020.02.05 |
오래된 노트북 업그레이드로 부팅속도 향상~! (HP 파빌리온 g6) (0) | 2020.01.2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2022년 그래픽카드 성능 순위 (G3D Mark 7월 기준)
2022년 그래픽카드 성능 순위 (G3D Mark 7월 기준)
2022.07.14 -
두 번 클릭으로 컴퓨터 사양 확인하는 방법 (장치관리자 및 CPU-Z)
두 번 클릭으로 컴퓨터 사양 확인하는 방법 (장치관리자 및 CPU-Z)
2020.02.19 -
컴퓨터 케이스 추천 그리고 케이스 쿨러 및 쿨링
컴퓨터 케이스 추천 그리고 케이스 쿨러 및 쿨링
2020.02.06 -
파워서플라이 컴퓨터 파워의 중요성~! 그리고 고장증상
파워서플라이 컴퓨터 파워의 중요성~! 그리고 고장증상
2020.02.05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